전기기사 전망
취업을 위해 하나의 자격증이라도 더 따야하는게 오늘의 현실입니다. 예전에는 자격증이 없어도 손기술 하나만으로 충분히 먹고살 수 있었지만 지금은 손기술을 자격증으로 증명을 해보여야만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이력서 한장 낼 곳이 없다는 것을 깨다는 건 시간문제일 뿐입니다. 오늘은 젊은층 뿐만 아니라 중년층에서도 인기가 많은 '전기기사'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|전기기사|
대체로 전기를 시공하는 업체나 공사현장에서 전기설비 설계, 전기안전관리를 하는 담당자, 점검 및 유지 등 전기와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이보다 하위 자격증인 '전기산업기사'가 있으며 이보다 상위의 자격은 '전기기술사'가 있습니다. 즉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술사에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인원이 분포가 되어 있는 구간의 자격증이기도 합니다. 전기기술사로 가기위해서는 필수로 거쳐야 하는 단계입니다. 또한 기사분야 중 가장 많이 도전하고 인기있는 분야이며 합격률도 그 명성에 걸맞게 가장 낮은 것이 바로 전기기사입니다.
단순 몇일 몇주 공부한다고 해서 합격을 하는 난이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. 전기공학과 학생들이 4년동안 배운것들의 총집합체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할 것 같습니다. 예전에는 전기기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격증을 빌리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형태도 많이 이루어졌었지만 현재는 법망이 강화되어 이제는 그러한 부업(?)을 할 수 없어졌습니다.
|응시자격|
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시험이고 가장 써먹을 수 있는 가치가 있는 분야가 기사분야인 만큼 응시자격이 존재합니다.
1. 산업기사를 취득 후 1년이상 해당 직종에 1년이상 실무경험이 있어야함.
2. 해당직종 혹은 유사직종에서 3년이상 근무경력이 있어야함.
3. 관련학과 졸업자 등 졸업예정자여야 함. (4년제이상)
4. 3년제 졸업자 혹은 2년제 관련학과 졸업 후 관련직종 경력1년 있어야함.
5. 학점은행제 등으로 4년제 졸업 및 졸업예정자여야 함.
이 중 자신이 어떤 조건으로 응시를 할 수 있는 지 확인하는 절차가 꼭 필요합니다.
|필기시험 과목|
1. 전자기학
난이도가 있는 과목으로 '멕스웰의 방정식'을 주로 다루며 벡터, 미적분 등의 수학적 계산이 많다.
2. 전력공학
전기를 발전하고 송전 후 배전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다루는 과목이다.
3. 전기기기
막상 공부하기전에는 쉬워보이지만 전기기사 공부를 막상해보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다. 발전, 전동기, 변압기 등의 수학적 계산을 유도하는 과목이다.
4.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
수학계산이 많은 과목으로 처음에 수학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가장 싫어 할 수 있다. 하지만 수학을 전혀 몰랐어도
출제 문제가 거의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공식만 외우면 의외로 점수가 잘 나오는 과목이다.
5.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전기와 관련된 법령을 다루는 과목이다. 가장 시간할애가 적은 과목이다. 하지만 과락을 할 때 이 과목에서 많이 나온다.
법령이 개정이 되고 말장난만 조금치면 틀리기 쉬운 과목이기 때문이다.
|전기기사 전망|
결과부터 말씀드리자면 전기분야의 전망은 매우 밝을 것 입니다. 아무리 자동화, AI가 발전한다 하여도 전기직종은 사람이 꼭 해야만 하는 직종입니다. 전기설비, 관리감독, 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으며
실제로도 현재 정년 퇴사 후에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일을 지속적으로 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.
하지만 전기기사 하나로 먹고산다는 것은 극히 드문일입니다. 예전에는 이 자격증 하나로 취업하고 평생 일을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취업 이력서를 낼 수 있는 필수 자격증일 뿐입니다. 하지만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는 굉장히 취업전선에서 굉장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분명 요즘에는 예전보다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고 합격하였다 하더라도 없는 사람보다 있는 사람의 수가 적기 때문입니다. 이는 합격만 한다면 자신의 취업스펙이 분명 도움이 되는 자격증이 됩니다.